중화사전망 - 자전 검색 - 박자서예사전

박자서예사전

공자 집 앞의 대련은 첫 번째 대련은' 국가와 평화롭게 공존하고 번영하다', 두 번째 대련은' 같은 날 도덕성인인 가족' 이다. 역사 연구에 따르면 공자의 공적을 찬양하는 이 작품은 청대 대학자 기효가 쓴 것이다. 기효란의 재능이 제단에 올랐다. 서예 작품의 대기가 웅장하든 대련의 정돈이든 문제없을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 이치에 맞지만, 후세 사람들의 눈에는 이 대련에 두 개의 오자가 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 윈스턴, 독서명언)

대련에서 첫 번째 대련의' 부' 는 이유 없이 누락되었고, 두 번째 대련의' 장' 자는' 일' 자를 깨뜨렸다. 다른 일반인이 쓴 것이라면 실수할 확률이 높다. 하지만 이 대련은 기효란이 쓴 것이고 청나라부터 홍보를 시작했기 때문에 실수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간체자와 번체자의 필기규칙을 열람할 때,' 복화장' 은 이렇게 짧은 팔과 다리도, 뱀도 발돋움하지 않았지만, 하필이면 기효란이 이렇게 부주의한 필기잘못을 범할 수 없기 때문에 기효란에게 쓴 이 대련은 고의적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옛사람들은 부모의 글자나 왕의 이름이 보통 다른 글자로 대체되거나 같은 글자에 획을 일부러 줄인다는 금기가 있었다. 그러나 청사를 관찰한 이 두 단어는 청나라 군주의 금기를 건드리지 않았다. 그래서 이것을 제외하는 것은 기효란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이다.

공자 집 앞에서 쓴 것이기 때문에 많은 책을 읽고 다재다능한 기효란은 그의 문학적 조예가 공자의 어르신과 견줄 수 있다고 감히 말하지 못했다. 당연히 기효란은 자기도 모르게 공자에 대한 그의 탄복을 나타냈다. 이 두 글자처럼' 부' 라는 단어는 공자가' 부유하고 머리가 없다' 를 의미하고,' 장' 자는' 문장 하늘 끝까지' 를 의미하는 것으로, 완전히 기회를 빌려 공자를 찬양하고 있다. 물론, 이것도 고대인들이 한 글놀이라는 것도 놀라운 일이 아니다.

둘째, 공자는 기효란의 숭배를 받았고, 기효는' 머리 없는 재물과 날으는 글' 을 공자를 비유했지만, 그는 그의 웅장한 포부를 표현하지 않았다. 그렇다면, 이 시는 공자공덕에 대한 찬미일 뿐만 아니라, 그의 원대한 포부를 표현했는데, 어떻게 오자로 오인될 수 있단 말인가?

둘째, 한자의 발전 과정에서' 부' 라는 글자는 실제로 비교적 적게 나타났고,' 장' 자도 유행했지만, 뒤이어 발전하는 과정에서 점차 버려졌다. 이런 작문 방법은 일종의 저속한 작문 방법이다. 송사 서예대사전' 에는 15 개의' 복' 이 있는데, 그중 8 개는' 복' 이 약간 적다. 당시 이런 글쓰기 방법은 문인들 사이에서 추앙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오늘 보아하니 이것은 오자인 것 같지만, 고대 문인 중에서 이것은 매우 전통적인 서예 스타일이다.

또한 건륭황제는 중국 문화를 사랑했다. 비록 그는 서예에 조예가 없다고 말했지만, 그도 어떻게 서체를 쓰는지 알고 있다. 그중 기효란은 예우를 받았다. 기효란은 이 작품을 쓸 수 있었는데, 아마도 건륭황제가 이 점을 알고 있었을 것이며, 기효는 당시 이것에 대해 더 많은 해석을 했을 것이다. 이 두 노골적인 오자에 대해 건륭황제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고, 아랫사람도 당연히 감히 의견을 발표하지 못했다. 이 두 글자는 자연히 전해 내려올 수 있는데, 오늘까지 아무도 폐지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