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사전망 - 격려 격언 - 소크라테스의 사상은 도대체 무엇입니까?
소크라테스의 사상은 도대체 무엇입니까?
후세 사람들은 소크라테스의 철학을' 윤리 철학' 이라고 부른다. 그는 철학 연구의 새로운 영역을 열어 철학이' 하늘에서 땅으로 돌아간다' 는 것은 철학사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소크라테스는 저작이 없다. 소크라테스에 대한 그의 사상은 대부분 그의 제자 플라톤의 대화록 때문이다. 이것은 소크라테스와 다른 사람의 대화에 근거한 것이지만, 우리는 보통 어떤 사상이 소크라테스인지, 어떤 사상이 플라톤인지 구별하기 어렵다. 소크라테스의 철학 사상은 주로 다음과 같은 측면에 나타난다. 사상의 전환은 현자에서 시작되고, 고대 그리스 철학은 자연 자체에 대한 관심에서 사회 윤리와 사람에 대한 관심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이들은 감성 단계에만 머물러 상대주의의 결론을 도출할 수밖에 없다. 소크라테스까지, 이 상황은 근본적으로 바뀌었다. 소크라테스는' 사상의 전환' 을 호소하며 철학을 자연에서 자아 연구로 바꾸었다. 즉, 나중에 흔히 말하는 철학을 하늘에서 인간으로 끌어당길 것을 촉구했다. 그는 자연 진리에 대한 추구가 끝이 없다고 생각한다. 세상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고 느끼기 때문에 얻은 지식도 불확실하다. 소크라테스는 변하지 않는, 확실하고 영원한 진리를 추구해야 한다. 이런 진리는 자연의 외부에서 찾을 수 없고, 자신과 자신에서만 찾을 수 있다. 소크라테스 이후 자아와 자연은 분명히 구별되었다. 사람은 더 이상 자연의 일부가 아니라, 자연과 다른 또 다른 독특한 실체이다. 영혼 불멸론 소크라테스의 영혼론은 정신과 물질의 구분을 더욱 분명히 했다.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자들은 일찍이 영혼이 불후의 것이라고 말했고, 유심주의와 유물주의의 대립은 이미 싹이 돋아났다. 그러나 그 이전의 철학자들의 영혼에 대한 견해는 여전히 모호하고, 어떤 사람들은 영혼을 가장 미세한 물질로 여기기 때문에 유심주의와 유물주의의 경계는 분명하지 않다. 소크라테스가 영혼을 물질과 본질적인 차이가 있는 영적 실체로 명확하게 볼 때까지. 소크라테스의 관점에서 볼 때, 사물의 발생과 소멸은 어떤 사물의 수렴과 분산에 지나지 않는다. 그는 이런 식으로 정신과 물질을 명확하게 대립시켜 서구 철학사에서 유심주의 철학의 창시자가 되었다. 사물의 보편적인 정의를 찾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기록에 따르면 소크라테스는 자연에 대한 연구를 포기하고 윤리적 문제에 대한 보편적인 진리를 찾아 사물의 정의를 찾기 시작했다. 그는 현자의 상대주의에 반대하여 여러 가지 의견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진리는 하나뿐이다. 관점은 모든 사람과 다른 조건에 따라 변할 수 있지만,' 진리' 는 영원히 변하지 않는다. 플라톤의 초기 대화록에서, 거의 모든 토론의 주제는 윤리를 정의하는 방법이다. 소크라테스가 추구하는 것은' 아름다움 자체' 와' 정의 자체' 를 아는 것이다. 이것은 아름다움과 정의에 대한 보편적인 정의이며, 진정한 지식이며, 플라톤의' 미의 이념' 과' 정의의 이념' 이다. 이것이 바로 서구 철학사에서' 유심주의' 의 원시 형태이다. 소크라테스는 자연계의 인과계열이 무궁무진하다고 지적했다. 철학이 이 인과계열만 찾는다면 사물의 궁극적인 원인을 알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사물의 궁극적인 원인은' 선' 이고, 선은 사물의 목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목적론으로 인과관계의 연구를 대신하고, 이후의 유심주의 철학을 위한 길을 열었다. 조산술과 갈등을 폭로하는 변증법 소크라테스는 모든 지식이 문제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진보를 구할수록 문제가 많을수록 진보가 커진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이 지식이 없다고 시인했고, 그는 다른 사람에게 지식을 가르치고 싶었다. 그는 이 모순을 이렇게 해결했다. 이 지식은 그가 사람들에게 주입한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이미 가지고 있는 것이다. 사람의 마음속에는 "태아" 가 있는데, 단지 자신이 아직 모르는 것일 뿐이다. 소크라테스는 다른 사람들이 지식을 얻도록 돕는' 조산사' 와 같다. 소크라테스의 조산술은' 반문심문' 형식으로 집중적으로 드러났고, 그는 종종 반문방식으로 상대방이 제기한 각종 명제와 이론의 모순을 폭로하여 상대방의 논점의 기초를 흔들고 상대방의 무지를 지적하곤 했다. 심문에서 소크라테스 본인은 자신의 무지를 인정했기 때문에 긍정적인 대답을 하지 않았다. 이런 방식은 일반적으로' 소크라테스의 풍자' 라고 불린다. 소크라테스의 방법은 엘리야 학파의 논리적 추리와 지노의' 엘리야' 에서의 귀류법에 의해 발전했다. 소크라테스의 풍자의 부정적인 형식에는 모순을 폭로하는 변증적 사고의 긍정적인 결과가 있다. 수는 자신을 산파에 비유하고, 대화에서 고치를 벗기는 방법으로 상대방이 점차 자신의 무지를 이해하고, 자신의 잘못을 발견하고, 정확한 지식관을 세우게 했다. 이런 담화에도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대화는 문답으로 상대방의 생각을 정확히 파악하여 스스로 진상을 발견하게 한다. 다만 대화에서 수의 중점은 질문인데, 그는 결코 상대방의 질문에 쉽게 대답하지 않는다. 그는 상대에게 그의 질문에 대답하라고 요구했다. 그는 겸손한 태도로 질문을 했고, 상대방은 대답에서 다른 질문에 대한 정보를 이끌어 냈고, 결국 끊임없이 캐묻자 청년은 자신의 무지를 인정했다. 질문을 하는 과정에서 수는 학생들에게 가장 높은 지혜를 주었는데, 이것이 바로 유명한 소크라테스식 아이러니다. 소크라테스의 방법은 서구 철학사에서 변증법의 가장 빠른 형식이다. 철학 사상의 발전을 보면 소크라테스는 정신실체와 물질실체의 구분을 제시하여 유심주의와 유물주의의 대립을 초기 철학의 단순한 상태에서 벗어나 더욱 성숙한 단계로 접어들었다. 그는 초기 그리스 철학자 격언식의 윤리사상을 철학의 고도로 끌어올렸다. 그는 논리적 변론의 방식으로 사상을 계발하고, 모순을 폭로하며, 변증적 사고방식으로 사물의 본질에 깊이 파고들었다. 이것들은 모두 철학적 사고의 발전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서구 철학사에서 첫 번째 체계인 유심주의 철학자로서 그는 주체와 이성을 과장하고 추상적 사고를 과장하며 종교 신화 대신 철학 유심주의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