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사전망 - 명언 미구 - 권력 제한 원칙
권력 제한 원칙
공민의 권리가 국가 권력에 대한 제약과 국가 권력의 국가 권력에 대한 제약을 모두 포함한다. 권력 제약이 헌법의 기본 원칙인 이유는 주로 헌법의 논리적 출발점과 기본 내용에 의해 결정된다. 현대 헌법의 근본 원인은 상품 경제의 보편적 발전이지만 정치적 차원에서 국가 권력 소유자의 변화다. 즉, 국가 권력이 과거의 소수의 소유에서 적어도 형식적으로 다수가 소유할 때, 즉, 인민 주권이 출현한 후, 여러 가지 주관적 원인으로 인해 국가권력의 소유자와 국가권력의 행사자가 서로 분리되었다. 국가 권력 소유자가 마땅히 가져야 할 지위와 역할을 확보하고, 이런 보장 메커니즘을 충분한 권위와 권력 제약권을 확인하는 국가 근본법이 생겨났다. 헌법의 기본 내용으로 볼 때, 공민의 권리가 시종 핵심과 주도적 지위에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 권력의 다른 부분 사이의 제약 메커니즘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다. 자본주의 국가의 헌법에서 권력 제약 원칙은 주로 분권 원칙으로 나타난다. 사회주의 국가의 헌법에서 권력 제한 원칙은 주로 감독 원칙으로 나타난다. 사회주의 국가의 감독 원칙은 최초의 무산계급 독재의 파리 코뮌이 개척한 것이다. 마르크스는 코뮌이 파리의 각 지구 총선에서 나온 도시 대표로 구성되어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 대표는 유권자에 대한 책임이 있어 언제든지 바꿀 수 있다. 엥겔스는 또한 처음부터 코뮌은 자신의 모든 대표와 관리들이 언제든지 예외 없이 교체될 수 있다고 선언하여 그들을 예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파리 코뮌이 개척한 이 원칙은 나중에 무산계급 독재를 실시한 사회주의 국가에 의해 중요한 민주주의 원칙으로 간주되고 각국 헌법에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현행 헌법은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지방각급인민대표대회는 모두 민주적으로 선출되고, 인민에 대한 책임을 지고, 인민감독을 받는다", "국가행정기관, 재판기관, 검찰이 모두 인민대표대회에서 생겨나고, 인민대표대회에 대한 책임을 지고, 인민감독을 받는다" 고 규정하고 있다. "중국 인민과 시민은 어떤 국가기관이나 국가 직원에 대해서도 비판과 건의를 할 권리가 있다", "인민법원, 인민검찰원, 공안기관이 형사사건을 처리하는 것은 분담 책임을 지고, 서로 협조하며, 법률이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시행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 는 등등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독 개념, 특히 감독 원칙의 합법화와 제도화는 여전히 강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회주의 국가의 헌법 실천에서 권력 제한 원칙을 시행하는 데는 아직 해야 할 일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