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사전망 - 구한말 사전 - 일본 쌀겨기름 사건(1968)

일본 쌀겨기름 사건(1968)

일본 쌀겨기름 사건은 1968년 3월 일본 기타큐슈시와 아이치현에서 발생한 세계적으로 유명한 공공재해 사건 중 하나이다.

1968년 3월 규슈, 시코쿠 등 일본 전역에서 수십만 마리의 닭이 갑자기 폐사한 사건(그래서 이 오염사고는 '칠면조 사건'이라고도 불림)이 주요 증상은 입을 벌리고 헐떡이는 것이었다. , 머리와 복부가 부어 오르고 사망했습니다. 검사 결과 닭 사료에 독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독극물의 출처가 밝혀지지 않아 조사도 이뤄지지 않았다.

1968년 6월부터 10월까지 일본 후쿠시마현에서 4가족 13명이 원인불명의 피부질환으로 치료를 받기 위해 규슈대학교부속병원을 찾았다. 색소침착, 결막충혈, 과도한 눈지방 등은 염소여드름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가족 내에서 다수 발생하고 식용유를 사용한 것으로 보아 쌀겨기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의심됩니다.

규슈대학교 의과대학, 약학부, 현 후생성이 공동 연구팀을 구성하고 농학부, 공학부, 생산기술연구부 전문가들이 참여 , 구루메대학 공공위생과로 나누어 임상, 역학, 분석팀과 함께 연구를 진행합니다. 임상팀은 3개월여간 환자 325명(112가정)을 진단해 가구당 평균 2.9명의 환자가 발생해 명백한 가족집중질환이 있음을 확인했다. 이후 전국적으로 해마다 그 수가 증가했습니다(후쿠오카현과 나가사키현이 가장 많습니다). 1978년 12월까지 일본의 28개 현에서는 공식적으로 1,684명의 환자(도쿄, 교토군, 오사카부 포함)를 인정했으며, 1977년에는 30명 이상이 사망했습니다.

사건 이후 일본 보건부는 특별부서인 '특별연구반'을 설치해야 했다. 부검 결과, 고인의 신체 5개 내장 기관과 환자의 피하 지방에서 폴리염화비페닐(PCB)이 발견됐다. 폴리염화비페닐은 비페닐 분자의 수소 원자가 하나 이상의 염소 원자로 대체된 제품입니다. 일반적으로 PCB는 혼합물이며, 함유된 염소 원자 수에 따라 액체, 시럽 또는 수지 형태일 수 있습니다.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인 화합물입니다. PCB는 물에는 잘 녹지 않지만 지질에는 쉽게 녹기 때문에 먹이사슬을 통해 동물에 축적될 수 있습니다. PCB는 안정된 특성을 가지고 있고 쉽게 타지 않으며 절연성이 좋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전기 장비의 절연유 및 열 운반체로 널리 사용됩니다.

인간과 동물이 PCB를 섭취한 후 흡수된 부분은 대부분 지방조직에 축적되기 때문에 간에서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PCB는 피부 손상 및 간 손상과 같은 중독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전신에 중독되면 무기력, 전신허약, 식욕부진, 구역질, 복부팽만 및 통증, 황달, 간비대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심한 경우 급성 간 괴사가 발생하여 간 혼수상태, 간신증후군, 심지어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역학조사팀은 환자들의 발병 시기, 연령, 성별, 지리적 분포 특성 등을 조사한 결과, 환자들이 섭취한 식용유에 대해 추적 조사를 실시한 결과 식용 쌀겨가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환자가 사용한 기름은 가메이(Kamei)였다. 창고업체 석유생산부서에서 2월 5일부터 6일까지 제품을 배송했는데, 해당 제품을 먹은 266명 중 170명이 병에 걸린 것으로 분석팀은 밝혔다. 쌀겨유의 원인 물질은 폴리염화비페닐(PCB)이었습니다. 환자의 분비물, 손톱, 머리카락, 피하지방 시료 등에서 PCB가 검출돼 열전달체로 사용된 KC-400에서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

후속 조사 결과 규슈 오무타시에 있는 한 곡물 가공업체의 식용유 공장에서는 비용 절감과 비용 절감을 위해 폴리염화비페닐액을 탈취 공정의 열전달체로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쌀겨유를 생산할 때 이익을 추구하십시오. 생산관리 불량으로 인해 쌀겨유에 PCB가 혼입되었습니다. 그 결과, 이 유독한 미강기름은 전국 각지로 팔려 사람들이 중독으로 병에 걸리거나 사망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쌀겨 기름 생산의 부산물인 검은 기름은 가금류 사료로 판매되며 많은 수의 가금류를 죽입니다.

쌀겨기름 사건 수사에는 환경역학조사 방식 중 사례관리수사 방식, 즉 쌀겨기름 사건 피해자를 동성 무작위로 추출한 방식이 사용됐다. 환자군과 대조군의 지방 및 기름 섭취량은 영향을 받지 않은 사람들이 대조군으로 조사되었으며, 영향을 받은 가족과 섭취한 대조군의 비율에는 차이가 없었습니다. 천연버터, 마가린, 라드 등 유채기름이나 기타 기름을 섭취한 가족의 비율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대조군은 환자군에 비해 기름을 더 많이 섭취하였고,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쌀겨기름을 훨씬 더 많이 섭취하였다. . 환경역학에 대한 후향적 조사를 통해 쌀겨유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폴리염화비페닐 오염이 쌀겨유 사고의 주요 원인인 것으로 최종 확인되었습니다.

이미 1966년부터 미국은 폴리염화비페닐에 오염되었다는 이야기가 몇몇 신문과 간행물에서 논의되었고, 일부 사람들은 이 오염이 사람들의 음식과 생활 전반에 퍼졌다고 경고했습니다. 이는 일본 당국과 식품업계의 관심을 끌지 못했고, PCB가 일본에 위협이 되지 않는 것으로도 여겨진다. 안타깝게도 불과 2년 만에 PCB 중독으로 인해 일본은 새로운 재난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일본의 쌀겨기름 사건은 'PCB 오염 사건'이라고도 불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