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사전망 - 신화사전 - 미국 역사는 한국전쟁을 어떻게 기록하고 있나요?

미국 역사는 한국전쟁을 어떻게 기록하고 있나요?

나는 미국인들이 쓴 한국전쟁에 관한 책을 여러 권 가지고 있는데, 그들 모두는 한국전쟁이 미국에게 큰 패배였다는 데 동의합니다. 더욱이 이 패배는 국제 정세 전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고, 이때부터 강력한 새로운 중국이 세계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했습니다.

내가 미국인들이 쓴 책으로는 데이비드 핼버스탬의 '가장 추운 겨울: 미국인의 눈으로 본 한국전쟁', 조셉 굴든의 '북한' 전쟁: 알려지지 않은 진실, 클레이 블레어 주니어가 있다.' 의 "맥아더", 베빈 알렉산더의 "한국, 우리의 첫 패배", 그리고 당사자들의 "맥아더 회고록", "리지웨이 회고록" 및 기타 수년간 수집된 외교, 군사 및 경제 정보. 한국이 쓴 『6·25전쟁사』, 일본 육군사관학교가 쓴 『6·25전쟁사』 등도 참고할 수 있다.

이러한 자료를 종합해보면 가장 중요한 점은 한국전쟁은 미국의 대패였으며, 이 전쟁 역시 냉전을 바탕으로 한 미국의 신중국에 대한 도발이었다는 점이다. 심리. 미국은 전장에서의 패배와 더불어 외교적 실패도 겪었다. 미국은 중국을 강력한 상대로 자리매김하고 중국을 소련 진영으로 밀어넣었다. 이로 인해 두 진영의 세력균형이 크게 바뀌게 되었고, 이때부터 미국은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했고, 중국과 미국이 수교할 때까지 계속 내리막길을 걷고 있었다.

물론 양측의 기록을 이성적으로 보면 신중국이 군사력 면에서 미국에 뒤진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 한국전쟁 당시 우리의 무기와 장비는 미국에 비해 열등했습니다. 마찬가지로 병사들의 자질을 보면 미군의 자질도 쓰레기가 아니다. 한국전쟁에는 미군의 에이스 부대가 대거 존재했다. 여기에는 해병 1사단, 기병 1사단, 187공수연대 등이 포함됩니다.

전쟁 후반에는 한국군도 미군의 훈련을 받고 첨단 무기를 갖추고 감히 우리군에 돌격했다. 그러므로 6·25전쟁에서 미군의 실패는 물질적 실패라기보다는 전략적, 전술적 실패에 가깝다. 우리 군장들의 탁월한 지휘와 장병들의 영웅적이고 강인한 정신으로 우리는 6·25전쟁을 승리하였습니다.

미국 기록을 보면 새 중국 정부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38선을 넘은 것은 미국의 큰 실수로 여겨진다. 미국인들은 이 문제를 소련이나 북한의 입장에서 보는 것이 아니라 신중국의 입장에서 분석하고 있습니다. 대국으로서는 나름의 전략적 안보공간이 있어야 한다. 이는 서로 다른 이데올로기를 가진 두 개의 큰 국가의 경우 특히 그렇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중국을 중심으로 우리만의 전략적 안보 서클을 구축해야 합니다.

북한은 안보권의 구성요소 중 하나로 신중국과 미국 사이의 완충지대 역할을 하고 있다. 미국은 국제 전략 협약을 무시하고 감히 38도선을 넘어 신중국과 강을 사이에 두고 있는 압록강 유역에 군대를 주둔시켰다. 여기에는 거대한 전략적 음모가 있었다. 이는 신중국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신중국을 시험하는 것이기도 하다. 신중국이 이에 감히 대응하지 못한다면, 신중국은 단순히 대국으로서의 책임도 없고, 자국의 전략적 안보를 지킬 용기와 능력도 없다는 뜻이다. 점점 더 큰 공격이 뒤따를 것입니다.

그러나 미국은 신중국과 신중국 지도자와 인민의 뜻을 오판했다. 따라서 이번 도발이 비참하게 실패한 이후 미국도 희생양을 찾고 있었다. 그래서 이 모든 일의 주범은 인천상륙작전으로 미국 정부로부터 영웅으로 칭송받던 맥아더가 됐다. 맥아더는 회고록에서 미국 정부의 나약함을 맹렬히 비난했지만, 모두는 그가 아무 이유 없이 신중국을 도발해 한국전쟁의 참패를 초래했다고 믿었다.

미국 기록 대부분을 보면 미국 정부의 책임이 지워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들은 모두 미국 정부가 신중국과 충돌할 생각이 없으며 심지어 38선을 넘을 생각도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맥아더의 독단적인 행동으로 물거품이 됐다.

이것이 한국전쟁의 승리였다고 보아야 합니다. 만약 우리가 한국전쟁을 치르지 않았거나, 한국전쟁에서 패했다면 그들은 뭐라고 말했을까요?

미국의 실패에 대해 미국인들은 고개를 숙이고 인정하고 있다. 오늘날까지도 한국전쟁의 고전적인 사례 중 일부는 미국과 일본의 사관학교에서 필수 과정으로 남아 있습니다. 한국전쟁 당시 휴전협정에 서명한 클라크 장군은 “미국 장군이 승리하지 못한 채 정전협정에 서명한 것은 미국 역사상 처음”이라고 한탄했다. ?

우리나라 서명국인 펑더화이(彭德懷) 원수는 선례가 확립되면 일본의 미래는 길다고 말했다. 물론 한국전쟁의 승리는 신중국에게 전략적 안보공간을 열어주었다. 미국은 의식적으로 새로운 중국을 멀리서 피하고 더 이상 나아가지 않을 것이다. 베트남전 당시 중국은 미군의 17도선 침범을 불허한다는 성명을 발표했고, 미국 정부는 이를 순순히 따랐다.

그래서 미국의 한국전쟁 기록을 보면 당시 우리 국가지도자들의 선견지명과 우리 군 사령관들의 뛰어난 전략전술적 수준, 그리고 우리 지휘관과 병사들의 지략을 엿볼 수 있다. 유연성과 용기, 끈질긴 전투 스타일이 모두 합쳐져 우리보다 훨씬 강한 미군을 물리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선인들의 지혜와 의지에 더욱 감탄하게 됩니다. 그들이 우리를 위해 닦아놓은 기반과 온 국민이 함께 노력한다면 우리는 어떤 어려움도 이겨낼 수 있습니다. 우리는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이 반드시 올 것이라고 믿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