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사전망 - 신화사전 - 하트에 대한 설명은 무엇인가요?

하트에 대한 설명은 무엇인가요?

중국어 정의 범위 내] 심장 심장은 가슴, 횡격막 위, 두 폐 사이에 위치하며 열리지 않은 거꾸로 된 연꽃 수술처럼 보입니다. 심낭. 심장은 신의 집이고, 혈의 주인이며, 맥의 주인이다. 오행 중 불에 속하며, 인체의 생명 활동을 관장하는 역할을 한다. 손소음심경과 손태양소장경은 소장과 심장을 서로 연결하므로 심장과 소장은 외측과 내측이 된다.

1. 눈에 보이는 심장: 가슴 왼쪽 폐에 위치하며, 통칭하여 [심장]이라 부른다. 혈액순환계의 중요한 기관입니다.

2. 보이지 않는 마음: 영혼의 또 다른 이름, [영혼]이라고도 한다. 그것은 신 주께서 창조하신 비물질적 생명체에 속합니다. 육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사람은 생활구조가 건전하고, 영혼도 온전한 온전한 사람입니다. 이는 사람의 영적 세계와 감정 표현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3. 다음과 같은 다양한 문구와 문장으로 새로운 의미를 생성합니다. 한마음, 주의가 산만함, 관심 등

한의학의 심장: 한의학에서는 '심장'이 내장 중 중요한 기관으로 각 내장의 조화로운 활동을 조절한다고 믿습니다. 그러므로 『내경』에서는 “마음은 오장(五臟)의 주인이다.” 즉, 모든 내장은 마음의 지도 아래 서로 연관되어 일을 분담하고 협력하며 형성한다는 뜻이다. 유기적인 전체.

1. 심장의 생리와 병리

심장의 주요 생리적 기능은 정신 조절, 혈관 조절, 땀 조절, 혀 열기입니다. 주요 생리와 병리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심장은 혈관을 다스린다. 내경에서는 “심장은 혈관을 다스린다”, “맥박은 혈의 집이다”라고 말한다. ", "모든 혈관은 심장에 속한다". 심장은 혈액을 관장하며, 혈액은 경락을 통해 흐른다. 경락은 혈액이 순환하는 통로이다. 몸. 이 기능은 심장 에너지의 작용으로 실현됩니다. 심장 기의 상승과 하강은 혈관의 변화로 반영될 수 있으므로 "내경"에서는 "심장과 맥박의 연결도 그 영광과 색이다"라고 말합니다. 심장 에너지가 강하고 혈관이 가득 차면 맥박이 느리고 강해집니다. 심기가 부족하고 심혈이 부족하면 맥박이 가늘고 약해지거나 박동이 불규칙해진다. 심장과 혈액이 막히면 맥박이 수렴되거나 막히는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2) 마음은 사람의 영적인 의식과 사고 활동을 말합니다. 현대 생리학에서는 사람의 정신과 사고 활동이 뇌의 기능, 즉 객관적인 외부 사물의 뇌의 반영이라고 믿습니다. 한의학에서는 사람의 정신과 사고 활동이 내부 장기와 관련이 있으며 주로 생리 기능이라고 믿습니다. 그러므로 마음은 "영을 숨긴다". "Lingshu Benshen Chapter"는 "그래서 일이 일어나도록하는 사람을 마음이라고합니다. "라고 말합니다. 렌(Ren)은 책임과 수용을 의미하며, 외부의 사물을 받아들이고 사고 활동을 일으키는 과정은 마음에 의해 완성된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심장 기능이 정상이면 정신이 맑아지고 생각이 빨라지며 기운이 넘친다. 심장 기능에 이상이 있으면 심계항진, 불면증, 몽환, 건망증, 오만함, 안절부절함, 불규칙한 울음과 웃음, 심지어 혼수상태 및 기타 증상과 같은 정신적 변화가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땀은 인체의 체액 중 하나이다. 땀과 혈액은 혈관을 주관하며 피와 땀, 심장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그래서 '땀은 마음의 액체'라는 말이 있습니다.

심양이 허하면 땀이 심양과 함께 흘러나오기 때문에 심기가 허하면 외부방어력이 약해 심장이 저절로 땀이 난다. 음(陰)이 허하고 양(陽)이 붙어 있지 않아 심액(心臟)이 부족하여 식은땀을 흘리게 된다.

(4) 마음은 혀에 열리고 그 아름다움은 얼굴에 있다. 마음은 혀에 열린다. 이는 '혀는 마음의 묘목이다'와 같은 뜻이다. 이 말의 근거는 심경(心臟)이 혀에 이르고 심기(心氣)와 피(血)가 혀(舌)를 통과하기 때문에 심기(心氣)와 혈(血)의 강함은 혀의 변화로 알 수 있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심혈이 부족하면 혀가 희어지고 심혈이 많으면 혀끝이 붉어지고 심혈이 막히면 혀가 부식됩니다. , 혀는 진한 보라색이거나 점상출혈 또는 점상출혈이 있을 것입니다. 심낭에 열이 들어가거나 가래가 심경을 가리면 혀가 굳어지고 말이 흐려진다.

화는 광채를 뜻하는데, 얼굴의 화는 심장의 생리기능이 정상적인지 여부를 나타내며, 머리와 얼굴의 혈관이 매우 풍부하여 얼굴의 색깔 변화로 드러날 수 있습니다. , 심장 에너지가 강하고 혈관이 가득 차고, 심장 기가 부족하면 안색이 창백하고 칙칙해집니다.

(5) 심장과 소장의 관계 심장과 소장은 경락의 측부를 통해 외-내 관계를 형성합니다. 심경맥은 심장에 속하고, 하경맥은 소장에 속하고, 상경맥은 심장에 속하고, 소장은 소장에 속한다. 표면. 두 경락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기(氣)와 혈(血)이 연결됩니다. 생리적 조건 하에서 이 둘은 서로 조화를 이루어 심장의 기가 소장을 통해 흐르고, 소장의 기가 심장을 통해 흐릅니다.

병리학적 상태에서는 서로 상호 작용합니다. 예를 들어 심장의 불이 너무 강하면 구강 염증과 혀 염증 외에도 짧은 붉은 소변, 작열감 등과 같은 소장 열 증후군 및 증후군도 있습니다. 이를 "심장이 소장으로 열을 전달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소장의 열기가 지나치게 뜨거우면 경락을 따라 심장까지 이동할 수도 있으며, 속쓰림, 혀미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치료 시에는 심장의 열을 없애는 것이 필요합니다. 소장. 서로를 고려해야만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6) 심장과 기타 내부 장기의 관계

1. 심장과 비장의 관계: "심장은 혈을 생성한다." 비장과 위는 기와 혈액 생화학의 근원이 된다. 다양한 기관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몸 전체에 채워지고 흐를 수 있습니다. 경락의 혈액 순환은 확실히 심기의 촉진에 달려 있지만 정상적인 작동을 유지하려면 비장의 조절 기능도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심장과 비장의 관계는 주로 혈액의 생성과 작용에 반영된다. 병리학적 상태에서는 비장 약화, 수송 및 변형 실패, 혈액 공급 부족 등 심장과 비장이 서로 영향을 미쳐 심장 혈액 결핍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너무 많이 생각하고 심장과 혈액을 소비하면 비장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위의 두 상황 모두 결국 심장 및 비장 결핍 증후군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심장과 신장의 관계: 심장은 양(陽)에 속하며 위에 있고 성품은 불(화)에 속한다. 신장은 음(陰)에 속하며 그 성질은 물이다. 생리적 조건에서는 심장의 양(陽)이 신장으로 내려와 신장의 양(陽)을 지탱해야 하며, 음과 양(陽)이 함께 심장에 영양을 공급한다. 와 양, 그리고 음과 양이 서로를 제한하여 심장과 양이 과도하게 활동하지 않도록 심장과 신장은 "물과 불이 서로 보완하고" "심장과 신장이 교차하는" 관계를 유지합니다. 이 정상적인 관계가 손상되면 심계항진, 불면증, 건망증, 몽환, 야뇨증 등의 "심장-신장 부조화" 증상이 나타납니다.

[다음]: 고대인들은 두뇌의 사고 활동보다 마음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지혜가 만들어낸 언어 체계에서 이를 엿볼 수 있습니다. 초기불교의 계시를 보면 마음에 대한 이해는 이미 매우 심오합니다.

불교에서 '마음'의 의미

불교에서 '마음'은 주로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습니다.

(1) 산스크리트어 citta의 무료 번역. 음역 품질이 높습니다. 또한 마음과 마음의 문제로. 대상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면서도 여전히 사고(조건적 고려) 기능을 갖고 있는 자를 말한다. 1. 심심왕(心王)과 심심법(心身)의 총칭을 말한다. 그것은 형태(물질)와 몸(살)에 상대적입니다. 오온(五蘊) 중 느낌, 생각, 행위, 식의 네 가지 무온에 해당합니다. 2. 오온(五蘊) 중 식온(識身)에 해당하는 오온(五蘊) 중 하나인 심정왕을 가리킨다. 통일된 마음의 주체인 6식(六識) 또는 8식(八識)을 말한다. 3. 마음, 마음, 의식의 세 가지 구성 요소에 대해 소나야나 학파와 다른 학파에서는 이 세 가지가 동일한 것에 대한 다른 이름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대승 의식 전용 학파에서는 '심장'이 여덟 번째 알라야 의식을 의미합니다. 이는 축적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모든 법이 일어나는 근본 실체이므로 집합심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알라야 의식이 씨앗을 축적하여 현재의 현상을 일으킬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처음 여섯 가지 의식은 분화와 인식의 기능인 "의식"이라고 불리며, 일곱 번째 의식은 사고의 기능인 "마음"이라고 불립니다. 마음의 주체가 하위 기능과 분리되면 전자를 마음의 왕이라 하고, 후자를 정신 상태라고 한다. 위에서 언급한 여섯 여덟 가지 의식은 마음의 왕이며, 마음 상태는 나중에 일어나는 것, 즉 미묘한 정신적 효과를 나타냅니다. 또한, 정신과 물질의 존재에 관하여 불교는 정신과 물질이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으며 둘 중 하나만 존재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불교는 이상론도 유물론도 아니며 공성론이다. 색과 마음의 비이원성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실천적 방법에 있어서 불교는 특히 마음의 주관성을 강조하므로 이상주의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다.

(2) 산스크리트어 hr!d 또는 hr!daya의 무료 번역. Khanlituo, Ganlida, Ganliduo, Ganliduoduo, Wulituoye, Helituoye, Helinaye, Hefaye로 음역됩니다. 혹은 육신의 마음, 진실한 마음, 견고한 마음으로 번역됩니다. 원어는 마음(heart), 정신(spirit), 마음(heart)의 의미를 지닌 중성명사이다. 나무의 마음과 같이 만물의 근본이요 중심(가운데에 있는 마음)이요, 만물의 참된 마음과 같이 법의 본성을 지닌 것을 가리킨다. 생각(생각)의 기능을 지닌 마음이 아니라 여래의 숨은 마음이다. 능가경 4권에 따르면 이 마음은 자성의 첫 번째 의미인 마음을 가리킨다. 마하바이로자나(Mahavairocana) 제4권에 따르면 육체의 마음(heart)을 가리킨다. 반야심경에서 말하는 '마음'은 반야가 비어 있는 마음의 본질을 의미합니다. 밀교에서는 속인의 한리타를 팔엽 연꽃으로 시각화하고, 사람들에게 자신의 불신을 드러내도록 가르치므로 모든 중생의 본성은 Khanlituo라고 불렀습니다.

(3) 다양한 상황에 따른 걱정의 분류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진실한 마음(원래 순수한 마음, 즉 본성이 순수한 마음)과 망상적인 마음(번뇌와 오염이 있는 마음); 마음(걱정에 해당) 집중의 마음)과 일관성이 없는 마음(미혹과 산만함을 진정시키는 일치의 마음, 집중과 선을 닦는 마음)과 분산의 마음(산만한 마음, 선의 분산을 닦는 마음). 또는 탐욕, 성냄, 무지의 세 가지 마음. 또는 탐욕, 성냄, 어리석음, 기타 마음의 네 가지 마음(세 가지 독한 마음이 함께 일어남)은 아라야 마음과 견고한 마음을 포함한 네 가지 마음을 모으는 것입니다. 또는 구하는 마음(외부 환경에서 시작하는 마음), 구하는 마음(알고자 하는 마음), 결심하는 마음(결정하는 마음), 번뇌의 마음(생성하는 마음) 번뇌와 순수한 생각), 끊임없는 흐름의 마음(지속적인 생각의 마음) 생각이 연속적이고 전후가 같다는 마음) 및 기타 다섯 가지 마음입니다. 즉 의식이 외부 환경에 닿으면 오심(五心)이 차례로 일어난다. 또한 『요기지론』 제1권에 따르면 이른바 팔심(善心)(선심계열의 성숙 과정에 있는 여덟 마음)은 종자심(種心), 싹씨심(苦種心), 수포씨심(結種心), 잎씨심(葉種心), 꽃을 피우는 마음, 열매 맺는 마음, 씨앗을 이용하는 마음, 어린 마음 등 또한 대하발라경 제1권의 분류에 따르면 수행자의 마음은 탐욕을 포함한 60개의 마음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능가경 제9권, 심밀밀경 해석 제1권, 구화엄경 제10권, 성법해설 제17권, 유식론 제2권, 구샤론 제4권, 대승사론 16권, 대승논문 제1권에서 촬영한 사진, 대승신념론 제1권]

('불교사전' 참조)

별첨: "정부보불교대사전" 》 (용어) 능가경 4권 치타(citta)는 한력대화경(Hanli Tai H'rdotblw;dH'daya)의 두 마음과 다물질적 마음을 기술하고 있습니다. 마음(걱정하는 마음). 마음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멈춰서 관찰하는 마음, 만물에 대한 마음, 칸리타의 마음(풀과 나무의 마음), 일리타의 마음(정수를 모으는 마음)이다. 대일경에서는 두 가지 마음, 즉 만물심과 간리타심에 대해 간략하게 언급하고 있습니다. Ganli Tuo Xin에는 육신의 마음과 실제 마음이라는 두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법상종은 의식만 하는 슈지와 의식만 하는 축에서 지둬(마음), 마나(의도), 비루오디(의식)의 세 가지 마음을 강조합니다. 종경은 네 가지 마음, 즉 헬리타심(육체의 마음), 형편을 걱정하는 마음, 만물을 걱정하는 마음, 마른 밤의 마음(견고한 마음)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대장경』 제19장에는 살과 피의 마음, 인연을 아끼는 마음, 쌓는 마음, 굳건한 마음의 네 가지 마음이 언급되어 있습니다. 살과 피의 심장, 옛날에는 산스크리트어로 천리타(Thousand Li Tuo)라고 불렀고, 새 시대에는 리투오예(Lituoye)에서 산스크리트어로 Qianli Tuo라고 불렀습니다. 육구의 심장은 우리의 심장이다. 밀교에서는 연꽃과 결합된 여덟 잎의 심장을 부른다. 식물과 나무의 중심이기도 하며 사물의 중심이라 하여 중심이라고도 한다. 이것이 고요함과 관조의 제2의 마음이요, 대승경의 서간리타심의 제1의심이요, 종경로의 제1심이요, 삼장법의 제1심이니라. Mahavama Sutra의 세 번째 장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Acharya가 말했습니다: 인간의 마음은 땀을 흘리고 밤을 나르는 것입니다. 이것은 고대 산스크리트어 번역의 타락입니다." Zhengfan Yin Yun Ji Li Tuoye, 이 구름의 심장은 적용되지 않은 연꽃 이미지와 같으며 8개 부분으로 나누는 힘줄과 정맥이 있습니다. 남자는 위쪽을 가리키고, 여자는 아래쪽을 가리킨다. ’ 마하비로자나 경(大興目目)의 세 번째 설명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땀과 밤으로 마음을 옮기는 자’는 고대 산스크리트어 번역을 타락시킨 것입니다. 진정한 산스크리트어 소리는 Yunheli Naiye입니다. 이 구름의 중심은 결합되었지만 덮이지 않은 연꽃과 같습니다. '대일서(大日書)' 제11장에는 '나그네는 여기에서 연꽃의 모양(육체의 심장을 가리킨다)을 생각하고 있다'고 되어 있다. (원본) Han Lituo, Wan Lituo, Zhuan Er이라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 12번째 말씀과 같습니다. ‘마른 밤을 들고 있는 사람이 중앙에 있습니다. ’ 또 ‘이 마음이 보통 사람의 마음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땀과 밤의 마음이다. 일반 관찰자도 곳곳에서 연꽃 모양을 떠올릴 것이다. ’ 지관의가 말했다: ‘칸(이 글은 잘못 쓰여졌습니다) 리타야, 이쪽은 풀과 나무의 심장이라 불린다. ’ Zongjing은 네 글자를 기록했습니다. ‘Heli Tuoye, 이 살과 피의 구름은 마음이고 몸에 숨겨진 다섯 마음은 황정경처럼 맑습니다. ’ 두 번째 에피소드에서 일어나는 마음은 여덟 번째 알라야 의식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온갖 종류의 씨앗이 모여서 기존의 법칙이 탄생할 수 있는 것이다. 브라만은 많은 자질이 있다고 말합니다. 법상종의 법칙은 의식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것이 웨이시슈지의 첫 번째 심장이자 루종징의 세 번째 심장이다. 유식론 제3론은 '더러움을 청정하게 하고 모든 법의 종자가 모인 곳이 일어나므로 이를 마음이라 한다'고 했습니다. (중략) 그 마음이 제8의식이다. ’ 위시수기(Weishi Shuji)의 3장 끝에서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많은 브라마 구름이 있는데 이것이 구름의 핵심입니다. (축약) '수집'이란 많은 씨앗을 모아서 낳을 수도 있고, 씨앗을 퍼뜨릴 수도 있다는 뜻이다. ’ 장종징로 4세가 말했다: ‘세 가지 성질이 많이 있습니다. 이 구름은 마음을 모으지만 오직 여덟 번째 의식만이 씨앗을 모아 일어납니다. 법상종의 세 가지 마음은 두 개의 문을 가지고 있는데, 세 개의 문은 세 개의 문이 서로 소통할 수 있게 해주지만, 다른 문은 서로 다른 몸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다차원적인 마음이 특별한 이름입니다. 여덟 번째 의식의. 마음을 세 번 생각해보세요. 브라만의 이름은 마나(Mana)입니다. 의미를 번역하세요. 그것은 생각을 의미하며 일곱 번째 의식의 특별한 이름입니다. 이것은 또한 Faxiang Sect에 국한됩니다. 의식만 이론 4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이 의식(제7의식)은 신성한 가르침에서 마나라고도 합니다. 이것이 바로 끊임없는 명상과 묵상이 나머지 의식을 능가하는 이유입니다." ’ 동서는 4장 말미에 이렇게 썼다. ‘그 뜻이니라. ’ 네 가지 마음은 아는 마음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이 남의 마음이다. 산스크리트어는 이전 에피소드와 동일합니다.

이것이 여덟 가지 의식에 연결되는 에너지와 조건의 효과입니다. 그러나 종종 의식 측면에서. 태종에서는 사악하고 망상적인 마음을 중재하는 마음을 일심(一心), 삼견(三觀), 일심(一心)이라고 부릅니다. Zhiguanyi는 "Tianzhu 소리에는 많은 특성이 있습니다. 이 방언 마음은 생각하고 아는 마음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 동이는 ‘환경을 아는 것은 나무와 돌의 이름과 다르다. ’ 마하비로자나경 12장에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범천 구름이 많을 뿐인데 그것은 당신이 자신의 마음을 알기를 걱정하기 때문입니다. 대승 2장에서는 '지식을 생각하는 것을 마음이라 한다'고 말합니다. ’ Zongjing Lu 4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마음에는 두 가지 조건이 있는데, 이는 모두 백계(白界)에서 고려될 수 있습니다. ’ 이것이 능가경 주석서의 제2심, 사마타 위빠사나, 대하바마경의 제1심, 종경경의 제3심, 삼장법의 제1심입니다. 그러나 법상종에서는 의식(識識)으로 번역되는 산스크리트어 반야(Prajna)를 사용하는데, 이는 다른 의미로 인해 마음 등 여섯 가지 의식을 일컫는 특별한 명칭일 뿐이다. 의식에 대한 유일한 설명 요약의 첫 번째 버전은 "Brahma Cloud Piruodi(Ding Yinfan, 의식)"라고 말합니다. ’ 다섯 개의 단단한 마음은 불멸과 불멸의 견고하고 참된 마음입니다. 즉 성품의 청정한 마음, 여래의 숨은 마음은 진여(眞如)의 또 다른 이름이다. 화엄은 만물 중 하나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는데, 믿음을 불러일으키는 이론은 두 문이 있는 일심, 일심, 능가경의 제2심, 종경로의 제2심, 대장경의 제4심이다. 그러나 Zongjinglu는 Sanskrit 단어 "ganlituo"를 Helituo로 사용하는데, 이는 "ganlituo"와 같은 소리를 냅니다. 능가경(Lankavatara Sutra) 1에서는 “이것이 과거, 미래, 현재, 여래, 공급의 자성의 첫 번째 의미입니다.”라고 말합니다. ' 참고: '이 심장은 산스크리트어 Han Li Tuo이고 Khan Li Taisong은 송나라의 심장입니다. 마음은 생각과 걱정의 마음이 아니라 나무와 같다고 합니다. 생각과 걱정의 마음은 산스크리트어 소리 구름의 특성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 Zong Jing은 네 단어를 기록했습니다. 'Siqian Li Tuoye, 이 구름은 견고한 마음이고 구름은 순수하고 견고한 마음, 이것이 진실한 마음입니다. ’ 여섯째, 본질적인 마음을 쌓아라. 경전의 모든 본질적인 의미를 축적한 사람. 반야심경에는 대반야경 600권의 정수가 담겨 있습니다. 이것이 세 번째의 평온함과 관조의 마음이며, 『대하비로자경』에 나오는 촉간리투오의 두 번째 의미이다. 그러나 사마타 위빠사나의 산스크리트어는 몸의 몸이며, 몸의 형상을 한 마음과는 다르다. Mahavama Sutra의 17 장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진실한 말의 핵심, 산스크리트어 소리의 핵심, Khanlituo가 진실한 마음입니다." ’ 직관2는 ‘의리타라고도 하는데, 이 방법은 정수를 쌓는 마음이다. ’심경 유찬(兩善)에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마음은 견고하고 놀랍도록 고요하다고 합니다. ’ 가르침은 육과 물질의 마음을 넘어 나타나며, 순수한 성품의 견고한 마음을 세우는 것입니다. 밀교의 영역에서 탄트라는 속인의 마른 밤을 직접 인식할 수 있는데, 이는 살덩어리 심장에 여덟 개의 부분이 있는 여덟 잎의 연꽃입니다. 위에 열려 있는 아홉 부처님은 자성(自性)의 청정한 마음이라 하며, 금강계에서는 간리타(甘利絲)의 중심쯤에 많은 성질을 지닌 것을 간리타(甘利多)라 부르느니라. 분리될 수 있는 견고한 마음은 없습니다. 비서의 주석 10에는 “밤은 땀을 흘리고 고기는 마음에 뭉클하다”고 되어 있다. 속인들이 보는 것이 법을 파괴할 수 있으니 여기서 부처님의 마음을 여는 것을 자성(自性)의 청정한 마음이라 한다. (중략) 한리타는 성품의 청정한 마음으로 직접 이름을 짓고, 말한 곳에서 이름을 정한다. (중간에 약칭) Han Li Tuo의 이름은 Han Li Tuo의 이름이기도 합니다. 부공신원(Bu Kong Xin Yu)은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수행자가 먼저 자신감을 가질 때 그의 마음을 밝히는 것은 대원경입니다. (중간 생략) 그리고 지혜를 보리심을 불러일으키는 대원경의 진언을 헬리나예(Heli Naye)라고 하므로 대원경과 지혜, 보리심의 마음을 지닌 사람도 역시 헬리 나예라고 불렀어요. ’

심장 "정복보 불교사전"(용어) 알라야 의식의 또 다른 이름. 마음에는 두 가지 의미를 낳는 축적물이 있습니다. 알라야식은 모든 법의 씨앗을 모아서 모든 법을 일으키는 의식이므로 마음이라 한다. 의식유론의 제3론은 '마음의 이름은 여러 가지 법과 습관의 씨앗에서 쌓인 것일지도 모른다'고 말한다. ’ 슈지 3장의 마지막 부분에는 이렇게 적혀 있습니다. ‘범천 구름에는 많은 특성이 있는데 이것을 마음이라 한다. 즉 축적의 의미는 영적인 의미이고, 집단봉기의 의미는 영적인 의미이다. 많은 씨앗을 모아서 낳을 수 있기 때문에 이 의식을 마음이라고 합니다. ’ 의식만론(Consciousness-only Theory) 제3권, 슈지(Shuji) 제3판, 지이덩(Zhiyi Deng) 제4판에서는 다양한 이름이 드러납니다.

심(心) '진의소불교통어'는 눈에 보이지 않는 영적 기능을 말하는데, 이는 불교에서 말하는 여덟 가지 의식(안식, 귀식, 코식, 혀식, 몸식, 식식)이다. 마나 의식, 알라야 의식.

심장(Sanskrit citta, Ba citta, Tibetan sems) 《중국불교백과사전》은 마음의 왕, 마음의 상태 등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마음 방법(mind method), 마음 문제(mind Matter)라고도 합니다. 불교 경전에서는 종파나 경전에 따라 그 의미가 다릅니다. 그것들은 간략하게 다음과 같습니다: (1) 마음과 정신 상태의 왕의 일반적인 이름: 형태와 몸에 관련됩니다. 즉 무심의 왕, 마음의 상태는 넓게는 조건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방법을 말하며, 오온 중에서 항상 느낌, 생각, 행위, 마음의 네 가지 무온을 가리킨다. 그리고 의식. 화엄경 제10권(다이쇼 9·465c)의 옛 번역: “마음은 마치 화가가 온갖 오음을 그리는 것과 같아서, 온 세상에 창조하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습니다.” ’ 『대승신심』(다이쇼 32·575c): “말씀하신 법은 모든 중생의 마음이요, 이 마음은 모든 세속적이고 초세속적인 법칙을 담고 있습니다. ’ (2) 심정의 왕을 가리킨다: ‘심법’과 관련하여. 영적인 효과의 기본 주제입니다. 육식(六識), 팔식(八識)을 말하며 이 체계에는 아는 방법이 있는데, 육식(六識), 팔식(八識)을 구체적으로 심(心)이라 한다.

다섯 가지 무더기를 구별하면 마음은 식무더기이고, 마음의 세 무더기는 수용, 생각, 행위입니다. 예를 들어 대승 아비달마 모음집 제3권(태조 31.705a)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식(識)이다." 일곱 식계와 마음처에는 일곱 식계와 마음처가 포함됩니다. ’ 또한 《변중변론》(大樂31·465a) 제1권에서는 “다른 종파를 가진 사람은 국가의 일반적인 형상의 마음만 알 수 있을 뿐이고, 이름과 감정의 차이 등 다양한 정신현상도 이해할 수 있다. ' 히나야나는 사르바스티바다가 오직 한 종류의 마음의 왕이 있다고 말합니다. 즉, 여섯 개의 독립적인 개인이 아니라 눈, 귀, 코, 혀, 몸, 마음의 여섯 가지 의식이 마음의 왕에 의해 포착됩니다. 그 중 눈 앞의 오식(五識)은 오감에 해당하는 의식을 말하며, 제6의식인 식(識)은 만물을 생각하고 분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대승 요가카라에서는 여덟 마음의 왕이 있다고 하는데, 즉 만나와 알라야라는 두 가지 마음에 눈과 같은 여섯 가지 마음이 더해진 것입니다. 요가카라학파에 따르면 마나스 의식은 여덟 번째 알라야 의식에 의존하고, 여덟 번째 의식을 집착 대상으로 사용하여 끊임없이 생각하고 측정하며 내면에 집착합니다. 여덟 번째 의식인 알라야(alaya) 의식은 티베트 의식으로 번역됩니다. 요가카라종은 알라야 의식이 모든 현상의 씨앗을 담고 있을 수 있으며, 모든 현상은 씨앗의 출현(작용)에서 나타난다고 믿습니다. (3) 여덟 번째 알라야 의식의 또 다른 이름: 대조적으로 처음 여섯 가지 의식을 식(識)이라 하고, 일곱 번째 식을 마음(心)이라고 합니다. 『요기지륜』(태조 30·651b) 63권: "모든 의식을 마음식이라 한다. 그것이 가장 우월하면 알라야식을 마음이라 한다." "대승 아비달마 모음집 제2권"(Taisho 31.701a): "마음은 집합계의 습관적 에너지에 의해 얼룩진 알라야 의식의 모든 씨앗을 가리킵니다. 그것은 다른 친숙한 의식이라고도 불리며, 아다나 의식이라고도 불립니다. . 온갖 습관이 쌓일 수 있으니까요. ’ 왜냐하면 마음은 축적을 의미하고 알라야식은 씨앗을 축적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에 심장은 그것을 다른 이름으로 부르기 때문이다. 또한 혜누마오의 『광명대왕경』 제2권(말)에는 마음에는 네 가지 차이가 ​​있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대서 39·218b). (1) 마음의 참된 이름은 반야다심, 즉 참된 진리를 마음이라 부르기도 한다. (2) 조건부 마음은 많은 이름과 특성을 지닌 팔식(八識)에 접근하는 마음입니다. (3) 축적이란 마음도 팔심(八識)과 연결되어 축적될 수 있다는 뜻이다. (4) 이름과 마음의 최고의 뜻을 쌓는 것이 여덟째이다. 그 중 두 번째와 세 번째 시리즈에서는 여덟 번째 의식을 심장으로 명명하는데, 이는 심장 왕의 의미와 동일하며 네 번째에서는 여덟 번째 알라야 의식을 심장으로 명명하며 이는 알라야의 다른 이름입니다. 의식. 첫 번째 진정한 마음은 hr!d 마음을 말합니다. Sanskrit hr!d, 즉 육체의 마음, 단단한 마음으로 번역된 원어는 마음, 정신, 마음의 의미를 지닌 중립 명사입니다. 나무의 마음과 마찬가지로 만물의 본질이자 중심이 되는 '마음'입니다. 마찬가지로 모든 법에는 진성(眞性)의 진심(眞心)이 있는데, 이는 인연 맺는 마음이 아니라 여래의 숨은 마음을 가리킨다. 또한 『대일경』 제4권에 따르면 육신의 마음(心)을 가리킨다. 밀교에서는 평범한 사람의 몸과 마음을 여덟 잎의 연꽃으로 시각화해야 자신의 부처님 몸을 드러낼 수 있다고 말합니다. 그러므로 모든 중생의 진정한 본성을 칸리타(Kanli Tuo)라고 합니다. ◎부록 1 : 인순(陰舜)의 『여래장사론』 제3장(발췌) '마음'은 다양한 통일된 의미를 갖고 있어서 불교의 발전 과정에서 학자들의 설명은 마음의 통일성을 지향하는 경향이 있다. (1) 아비담마(Abhidhamma) 학자의 '마음의 왕'이 말했듯이: 인간의 마음에는 선하든 악하든 감정, 생각, 생각 등 수많은 기능이 있습니다. 분리에 대한 연구에서는 감정, 생각 등이 분리됩니다. '마음에서 우러나고' '마음에 따라 일어나는' '마음이 있는 법'이라 불린다. '정신 상태' 이외의 것을 마음(왕), 즉 여섯 가지 의식이라고 합니다. '정신적 소유물'에서 분리된 마음은 현대 심리학의 통각 기능에 가깝다. 다양한 정신 상태부터 그에 의존하는 단일심(육식 중 하나의 의식)까지, 심신(心身)과 마음의 작용으로 오해되기도 합니다. 다행스럽게도 아비달마 학자들은 그렇게 말하지 않고 마음과 정신 상태가 동일하다고 믿지만, 전체 인식(마음)과 다양한 유형의 인식(정신 상태) 사이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2) 예를 들어 일심신앙인은 "마음은 혼자 여행한다"를 인용하고 다른 여섯 가지 의식은 단지 한 마음의 차이일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3) 마음의 본연의 순수함을 논하는 자에 대하여 경전에서는 '마음은 지극히 순수하고 이물에 오염되었다'고 세속적인 비유에 따르면 '성품은 순하지만 물질에 오염되어 있다'고 설명한다. 외부 세계'. 마음은 번뇌와 번뇌가 없는 내면의 마음이고, 마음의 몸은 순수합니다. 불교계는 세상의 마음 상태에 해당하는 내면의 통일성에 중점을 둡니다. 보통 사람들의 생각은 항상 이렇습니다. 삶과 죽음의 연속성에 관해 우리는 죽음 전후에 산 자의 존재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전후 사이에 연속성이 있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번뇌에서 청정으로, 속박에서 해탈로 가는 데에는 번뇌와 청정을 연결하는 존재, 속박과 해탈을 연결하는 존재가 있어야 한다고 가정한다. 이것이 세속적인 지식이며, 일심(一心), 즉 신적 자아를 세우는 의식의 근원이다. 마음이 더러워지면 번뇌가 생기고 번뇌가 없어지면 마음이 청정해진다. '마음'은 빨래하는 옷, 닦는 거울, 닦는 금과 같이 얼룩을 관통하는 몸이다. 연금술.

세속적 비유로 확립된 '원래의 마음의 순수함'은 참으로 세상의 일반적인 지식에 적합하고 사람들에게 선을 행하도록 격려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부록 2: "다섯 가지 마음"("불교 사전"에서 발췌 및 번역) 소위 "다섯 가지 마음"은 마음의 의식이 환경을 직면할 때 순차적으로 일어나는 다섯 가지 기능입니다. 이 단어는 "Yogi Earth Treatise"의 1권과 3권에서 나왔습니다. 즉, (1) 수에르의 마음: 세부 명칭은 수에르의 낙하하는 마음으로, 처음으로 대상에 빠질 수 있는 마음을 뜻한다. 마음이 대상을 인식하는 순간의 마음을 말한다. 이때 마음에는 구별이 없으나 갑자기 에너지 상태의 효과가 나타난다. (2) 마음 구함 : 마음이 빨리 변하고, 생각해보고, 상황이 어떠한지 주의 깊게 이해한다는 뜻이다. (3) 결정하는 마음: 구하는 마음이 대상을 변화시키고 이해하고 결정한다는 뜻이다. (4) 오염되고 청정한 마음: 일단 결심한 마음이 바뀌면 상황의 차이에 따라 원망하는 사람에게는 미움이 생기고, 친족이 있는 사람에게는 친절하며, 평정한 마음이 생긴다는 뜻이다. 원망이 있는 사람과 친척이 있는 사람. (5) 등유심(等流心) : 순수한 염심은 계속해서 흐른다. 이 다섯 가지 마음은 한 순간만 지속되고, 나머지 마음은 많은 생각 동안 지속됩니다. 다섯 가지 생각의 발생은 새로운 상태가 원인 위치에 연결될 때 발생합니다. 오래된 상태라면 마지막 세 마음, 마지막 두 마음 또는 한 마음만 발생합니다. 또한 구하고 있다면 솔직해야 합니다. 처음 다섯 가지 의식에서는 행할 마음이 있으면 구하려는 마음도 있어야 합니다. 여덟 번째 의식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제8경은 성불에 이르렀고 운명에 의해 결정되므로 구하는 마음은 없고 오직 네 마음만 있을 뿐입니다. 8식(八識)을 기준으로 5심의 유무를 논하면, 앞의 6식(六識)에는 5개의 마음이 있고, 7식과 8식(六識)에는 4개의 마음만 있습니다. 그러나 처음 여섯 식(六識) 중 여섯 식(六識)은 다섯 마음을 가지고 있지만, 처음 다섯 식의 원인 위치는 청정하고 힘이 약하기 때문에 과의 자리에 다섯 마음이 있습니다. 일곱 번째 의식, 즉 변환되지 않은 위치에는 두 마음을 추구하는 수어(Su Er)가 부족하고, 의존의 초기 위치에는 수어(Su Er) 마음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 있으므로 4개의 마음이 있습니다. 여덟 번째 마음은 욕망의 마음으로 일어나지 않으므로 구하는 마음은 없고 오직 네 마음만 있습니다. 처음 다섯 가지 의식은 단지 인도되고 추구된다는 또 다른 이론이 있습니다. 위의 내용은 "Fa Yuan Yi Lin Zhang"의 의미를 기반으로합니다. "종징로"는 처음 다섯 가지 마음에는 구하는 마음이 없지만, 여섯 번째 의식에는 다섯 가지 마음이 있고,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의식에는 구하는 마음이 없고 오직 세 가지 마음만 있다고 주장합니다. 또한 『법원일린장』은 자기와 타인의 의식에 있어서 혼돈과 무혼돈의 의미를 논하며, 자기인식과 타인의 무질서, 자기혼돈과 무혼돈의 5가지 원칙을 정립한다. 타인의 혼돈과 마음의 혼돈, 타인의 혼돈과 자기 혼돈, 마음의 자기 혼돈.

◎부록 3: "心行"("왕월불교사전"에서 발췌) "心行"이라는 단어는 산스크리트어 citta-carya의 중국어 번역입니다. (1) 정신작용: 예를 들어 대반야경 555권(대조 7.864b)에서는 '색채심은 무량하고, 색채심은 그 행위로 말미암아 생겨난다. 느낌, 생각, 생각, 의식은 마음 속에 무한하며, 느낌, 생각, 의식은 정신적 과정의 결과입니다. 『요가시지서』 『건축기』 제50권(다이쇼 30·574c)에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궁극의 경지에 도달하는 나한의 꿈 센터와 마찬가지로 보살의 마음과 행위도 알아야 하며, 아라한의 마음과 행위도 알아야 합니다. 깨달음을 얻었으니 여래의 마음과 행위를 알아야 하느니라. 또 『소변반야경』 제9권 수지빈(大書 8·580a)에서는 “색심의 행위는 무량하고, 생각하는 마음의 행위는 무량하고, 생각하는 마음의 행위는 무량하며, 생각하는 마음의 행위는 무량하다”고 했습니다. 법화경 제6권 『대사의 공덕』(다이쇼 9.50a): “삼천대천세계, 육계의 중생, 마음이 하는 일, 마음이 행하는 일, 생각이 마음의 놀이는 모두 완전히 이해됩니다. 그 가운데 '마음이 하는 일'이나 '마음이 하는 일'은 모두 같은 말입니다. (2) 마음의 상태: 즉 정신적 능력의 범위의 한계이다. 예를 들어 중학(中論)의 『법관』 제3권 7구(다이쇼 30장 24a)에는 “모든 법의 실상은 마음과 행위와 말이 끝나는 것이며 생이 없으며 그것은 열반과도 같습니다." ’ 비말라키르티(Vimalakīrti)의 ‘문수리의 질병에 대한 질문’ 경은 이렇게 말합니다(타이쇼 14.544c): ‘또한 나는 묻습니다: 부처님들은 해탈을 위해 무엇을 구해야 합니까? 대답은 이렇습니다. 우리는 모든 중생의 마음과 행동에서 그것을 찾아야 합니다. ’ (3) 마음에 있는 것, 곧 ‘희망’입니다. 랑카와타라경에 입문' 제1권 '부처님을 청함'(태조 16.517b)에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위대한 보살들이 실천한 법입니다. ’ 신역 화엄경 제62권(태쇼 10·335c)에 이렇게 적혀 있습니다. ‘그 순간 여래께서 오른손을 펴시어 내 왕관을 쓰다듬으시며 나에게 보안법을 ​​설하셨다. (원본) 일체 중생의 마음대로 행할 수 있고 일체 중생의 뿌리에 닿을 수 있으며 중생의 마음대로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또 법화경 제1권 『편의자료』(다이쇼 9.7c)에는 “부처님께서는 중생들의 생각과 그들이 행하는 다양한 길과 그들의 욕망의 성품과 선을 다 알고 계셨습니다. 은유와 은유는 편리하고 효과적이며 모든 것을 행복하게 만듭니다. 대반야경 551권(다이쇼 7·837a)에는 '나는 마음속 생각과 진실한 진리를 내려다보고 관찰하고 싶습니다. ’ 그 중 ‘마음이 생각하는 것’은 마음의 행동이다.

(4) 의도, 정신 등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마하장감사라』 제5권(1부)에는 다음과 같이 나와 있습니다(대서 46.59b). '모든 생명체는 서로 다른 정신 행위를 가지고 있거나, 많은 사람들이 동일한 정신 행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 또는 한 사람이 여러 가지 정신 행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한 사람과 여러 사람에게도 마찬가지이며, 많은 사람과 한 사람에게도 마찬가지입니다. 법망의 눈은 새와 귀를 사로잡아야 합니다. 정신. ’ 또한 『비연록』(태쇼 48·198c) 69장에는 '남전, 귀종, 마고가 함께 가서 중국사를 숭배하게 하라. 중간 도로에 도달하면 Nanquan은 땅에 원을 그리며 말합니다. 길을 찾으면 바로 가십시오. 마구는 부족으로 돌아와 원 안에 앉아 여인처럼 절을 했다. 관윤: 싫으면 가지 마세요. Gui Zong은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그것은 어떤 정신적 행위입니까? ’ 그게 다 그런 뜻이에요. (5) 마음과 행은 함께 부르느니라 정토의 가르침과 같이 마음의 평안과 각성은 남을 도울 수 있는 마음의 행위이며, 열망과 실천은 자립하는 마음의 행위이다. [참고 자료] 『대승경』 제2권, 『대승경』 제1권, 제100권, 성위기론' 제2권, 가츠타타 준의 '불교심론연구', 히로모토 미즈노의 '불교심론연구', 『불교심론연구』 제9권 나카무라 겐 편집의 "불교 사상" "마음"(등), 히라카와 아키라 편집의 "불교 마음 문제".